// //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by hedeos81 2023. 1. 9.
반응형

여러 분야에서 인용되는 사자성어인 읍참마속의 뜻이 궁금하신가요? 읍참마속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아무리 소중한 사람일지라도 규칙을 어겼을 때는 법에 따라 공정하게 심판해야 함을 이야기하는 말로 공정성을 요구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읍참마속 한자풀이

泣 울(읍)

물의 삼수변(氵, 水)과 땅에 선 사람을 본뜬 립(立)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사람이 소리 없이 눈물을 흘린다는 뜻입니다.

斬 벨(참)
수레 차(車)와 도끼 근(斤)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수레에 실은 무기로 적을 벤다 하여 베다는 뜻입니다.

馬 말(마)
곧게 서 있는 말을 본떠 말이라는 뜻입니다.

謖 일어날(속)
말하다의 언(言)과 날카로울 측(畟)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읍참마속의 유래

읍참마속은 삼국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유비와 조조가 사망한 이후의 삼국 시대의 이야기가 그 배경입니다.


유비와 조조의 자식들과 강동 지방의 손권이 삼국시대를 열어 가던 서기 227년, 촉나라 승상 제갈량이 위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북방 진군을 했습니다.

기산으로 진출하여 위나라 군과 격돌하게 되었는데 당시 위나라를 장악하고 있던 사마의는 직접 20만 병력을 이끌고 기산으로 달려와 방어를 구축하고 일전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제갈량은 위나라 군대의 방어진을 깨뜨리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에 골몰했는데 가장 고민한 문제가 바로 보급의 요충지인 가정을 어떤 장수에게 맡기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보급이야말로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이 가정을 사수하는 문제야 말로 승패를 좌지우지하는 큰 일이었습니다. 더군다나 위나라 군대를 이끌고 있는 사마의는 제갈량의 호적수라 불릴 만큼 전략에 통달한 자였고, 계략이 무궁무진한 자였기 때문에 아주 고심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사마의가 가정을 기습 공격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데, 그렇다고 전군을 지휘해야 하는 제갈량 자신이 가정을 지키고 있을 수도 없는 일이었습니다.

누구를 보내야 안심할 수 있을지 한참을 고심하던 중에 마속(馬謖)이란 젊은 장수가 스스로 그 임무를 맡겠다고 나섰습니다.

마속은 제갈량의 절친한 친구이며 조정 중신인 마량의 동생이었고, 병서를 많이 읽어 군략에도 일가견이 있으며 머리가 아주 비상해 촉망받는 인물이었습니다.

제갈량이 마속에게 물으며 대화를 주고받았습니다.

"자원하고 나서니 그 행동이 가상하긴 하다만 자신이 있는가?"
"제가 읽지 않은 병법서가 없음을 승상께서도 아실 것입니다. 그러니 일개 전략 요충지를 지키는 일 하나 해내지 못하겠습니까?"
"상대는 사마의다. 만약 이 가정을 잃게 된다면 이번 출정은 헛된 일이 되며 우리는 회군해야 하네."
"그렇게 못 믿으시겠다면 저의 목숨을 걸겠습니다. 만약에 실패한다면 참형에 처하더라도 원망하지 않겠습니다."
"어쩔 수 없구나. 다만 군율에는 사사로운 개인의 정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하거라."

결국 제갈량은 가정에 마속을 보내기로 결정하고, 지형지물을 이용해 길을 굳게 지켜 사마의가 이끄는 위나라 군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명했습니다. 특히 섣불리 자리를 움직이는 것은 절대 금물이라며 신신당부를 했습니다.

하지만, 마속은 현지의 지형지물을 나름대로 살펴보더니 제갈량의 작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적의 진출입로를 병력으로 방비하는 것보다는 산 위에 진을 쳐서 위나라 군대를 유인해 역공을 취하는 방법이 이론상 훨씬 실효성이 있을 것 같았습니다.

주변의 모두가 말렸지만 마속은 결국 제갈량의 작전이 아닌 자신의 생각대로 산 정상에 진을 치고 적군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게 됩니다.

이윽고 위나라 군대가 나타났는데, 그들은 서두르지 않고 산기슭을 포위한 채 시간만 끌기 시작했습니다. 독 안에 든 쥐 꼴이 된 마속의 병사들은 식수와 식량을 점점 소진하게 되어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마속은 제갈량의 지시에 따를 걸 공연한 짓을 했다며 낙심하며 크게 후회했지만 이제 와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자책감과 분노로 가득 찬 마속은 결사의 각오로 돌진해 내려오려 했지만 포위망을 뚫지 못하고 부하들 대부분을 잃고 말았습니다.

구사일생으로 혈혈단신 제갈량이 있는 본진으로 돌아왔지만 가정을 적에게 내주면서 중원 진출의 꿈은 물거품이 되어버렸고, 군대를 회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명령을 어긴 마속은 군율에 따라 참수형에 처해지게 되는데, 마속의 재주를 아낀 많은 사람들이 선처를 호소했습니다.

 

"마속은 뛰어난 인재입니다. 그를 잃으면 나라에 손실이니 승상께서 용서해 주십시오."


하지만 제갈량의 태도는 단호했습니다.

"마속은 정말 아까운 인재입니다. 마량의 아우이며, 나 역시도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큽니다. 하지만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 군율을 어긴다면 그것은 마속이 지은 죄보다 더 큰 죄가 됩니다. 여기서 선처한다면 앞으로 여러 장수와 병사들에게 군의 기강을 말할 수 있단 말입니까? 인재일수록 더 엄하게 처벌해야 대의가 바로 서지 않겠습니까!"

이에 마속은 울면서 제갈량에게 큰절을 하고 난 후 형장으로 향했고, 제갈량은 소맷자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흐느꼈다고 합니다.

 

제갈량이 마속을 참수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촉나라 유비의 사망 이후 제갈량이 예정대로 정권을 접수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대권을 차지하게 되었지만 주변의 적지 않은 사람들이 마음속으로는 복종하지 않았습니다.
불만을 품거나, 암중모색을 하거나, 그들 자신들의 입장이 있었겠지요.​

이런 상황 가운데, 이전 군주였던 유비의 권한을 대행하게 된 제갈량은 오로지 법치를 실행하는 한 가지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모든 일을 공평, 공정의 원칙으로 법에 따라 나라를 통치해야 주변의 수많은 인물들 뿐 아니라 민심을 안정시키고 정권을 공고히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 군법에 따라 마속을 처형할 수밖에 없었던 제갈량은 정말 읍참마속의 심정이었을 것입니다.

마속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마속은 마량의 동생입니다. 마량의 5형제는 모두 재주가 비범했는데 그중에 가장 뛰어났던 마량은 눈썹에 흰 털이 섞여 있어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을 가리키는 백미라는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입니다. 

마속도 물론 아주 뛰어난 인재였지만 자기 능력에 대해 겸손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유비가 세상을 떠날 무렵 제갈량에게 마속은 말이 너무 앞서고 사람들 평이 실제보다 부풀려 있으니 크게 쓸 재목이 아니라고 당부했었던 사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속과 중요한 전략을 의논하고 그에게 중책을 맡겼지만 실패로 돌아오게 되자, 제갈량은 마속을 벌하며 유비가 했던 그 말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렸다고 합니다.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 썸네일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 썸네일

글을 마치며

부모가 되고 나니 이 읍참마속의 심정을 조금은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아이들을 훈육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될 때 더욱 그렇습니다.

더불어 내 부모님도 나를 키울 때 이런 심정으로 키우셨겠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내리사랑이라는 말처럼 아무래도 내 자녀에게 더 신경이 쓰이고 더 많은 애정을 쏟게 되지만, 시간이 더 흐르기 전에 연로해져 가시는 부모님을 돌아보며 효도하는 우리가 되면 좋겠습니다.

 

 

 

↓삼국지에서 유래된 다른 고사성어 확인하기↓

 

삼고초려(三顧草廬)의 뜻과 유래

어릴 적에 만화 삼국지를 즐겨 보았었는데 그 안에서 삼고초려라고 하는 유명한 단어를 본 기억이 어렴풋이 납니다. 오늘은 이 삼고초려라는 말의 뜻과 유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 텐데, 이

hedeos81.com

 

반응형

댓글